최근에 만료된 Kubernetes 자격증을 갱신하면서 신규 자격증인 KCNA와 KCSA가 있어 추가로 취득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가지 자격증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고 시험 후기를 간단히 남기려고 합니다.

 

공통

두 시험 모두 PSI 를 통해서 시험을 응시하는데 다른 시험들에 비해서 노트북 캠으로 사전 점검을 엄청 열심히 합니다.

듀얼 모니터는 지원되지 않으며, 책이나 종이 필기류 뭔가 눈에 띄는 모든 것에 대해서 확인을 합니다. 

그냥 노트북, 마우스만 두고 시험을 응시하는게 시간 낭비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KCNA와 KCSA는 90분간 60문제 4지선다의 시험이고, 자격은 2년간 유효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자격증과는 다르게 상황 설명이 복잡하지 않습니다. 대체적으로 질문과 제시된 응답이 간결한 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나 제품을 찾거나, 혹은 특정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선택하는 등입니다.

 

시험에 큰 부담은 없지만 언어 선택은 영어만 가능하기 때문에 시험 후 약간의 피로는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두 가지 시험 모두 쿠버네티스의 컨트롤 플레인 구성 요소와 역할, 그리고 각 리소스가 어떤 경우 필요한 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묻는 문항이 있습니다.

 

KCNA(Kubernetes and Cloud Native Associate)

KCNA는 쿠버네티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어소시에이트 자격입니다. Associate 자체가 Expert 수준의 자격은 아니기 때문에 업무에서 쿠버네티스 환경을 사용하고,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분은 큰 부담없이 접수하고 시험을 처도 무방한 시험입니다.

 

출제 범위(Domain)

출처: 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cation/kubernetes-cloud-native-associate/

 

위 Linux Foundation 링크에서 세부 주제들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대충 아는 부분은 넘어가고 아리송한 부분만 한번 학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시험 범위는 쿠버네티스 + 클라우드 네이티브이기 때문에 관련된 용어이나 개발 프로세스 등도 포함된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정말 어렵지 않은 시험입니다.

 

아래와 같이 참고 자료 남겨드립니다.

 

https://github.com/moabukar/Kubernetes-and-Cloud-Native-Associate-KCNA/blob/main/docs/kcna/questions.md

https://www.itexams.com/exam/KCNA

(두번째 링크는 초반에 20문제 정도는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KCSA(Kubernetes and Cloud Native Security Associate)

KCSA는 쿠버네티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에 대한 보안 어소시에이트 자격입니다. 마찬가지로 쿠버네티스 환경에 익숙하다면 큰 부담은 없을 수 있지만, 이 시험은 보안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는 추가로 학습이 필요합니다.

 

출제 범위(Domain)

출처: 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cation/kubernetes-and-cloud-native-security-associate-kcsa/

 

해당 시험에도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에 대한 문항이 있고, 또 대략 10+문제 정도는 그냥 감으로 봐도 보안적으로 좋은(?) 답변을 선택하면 됩니다.

 

다만 한 2~30문제 정도는 정말 해당 토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략 2~3시간 정도는 공부를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쿠버네티스의 보안을 위한 서비스계정, 네트워크 정책, RBAC, Authz, Admission Controller 같은 내용도 알아야 하고, 그외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보안을 강화해주는 구성요소나 제품(SECCOMP, AppArmor, gVisor, Falco, FireCraker 등)들도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이해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안 관련 규정이나 용어들도 친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위 출제 범위를 확장해서 각 카테고리에서 모르는 용어가 있으면 보고 가시기 바랍니다.

 

아쉽게도 KCSA는 잘 정리된 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KCSA는 후기들을 한번씩 보고, 참고 링크들을 위주로 학습 했습니다.

 

 

혹시나 도움이 되셨으면 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취득 후기 (2025년 2월 18일 리뉴얼)  (0) 2025.03.22
curl의 다양한 옵션  (0) 2025.03.06
VS Code를 markdown editor로 사용하기  (0) 2025.02.06
VS Code에서 REST 테스트 하기  (0) 2023.11.05
wsl: docker, kind 설치  (0) 2023.1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