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ind
- calico
- aws
- Azure
- upgrade
- AKS
- go
- ubuntu
- KEDA
- 컨테이너
- EKS
- device plugin
- HPA
- AutoScaling
- VPA
- kubernetes
- 업그레이드
- fsx for lustre
- curl
- ansible
- WSL
- amazon vpc lattice
- vscode
- Karpenter
- 쿠버네티스
- windows
- ca
- Timeout
- 묘공단
- inferentia
- Today
- Total
목록Quick Fix (6)
a story
wsl에서 root 패스워드를 분실 했을 때, 아래 명령을 실행하면 root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 ubuntu config --default-user root wsl로 들어가보면 root 로 바로 들어간 것을 알 수 있다. root 사용자에서 passwd 로 변경하면 된다. root@com:/# passwd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Hyper-V 환경에서 VM에서 다시 가상 머신을 만드려고 할때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때 가상 머신에서 nested virtualization 을 지원하기 위한 옵션 변경 방법 입니다. 아래의 명령을 Hyper-V 호스트에서 실행합니다. Set-VMProcessor -VMName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true 사용 예시 PS C:\Users\administrator> Set-VMProcessor -VMName win10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true PS C:\Users\administrator> (get-VMProcessor -VMName win10).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True 참고 http..
curl 로 파일을 가져오는데 301 (301 Moved Permanently) 결과만 기록된다. root@k8s-m:~/guestbook# curl -O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guestbook/redis-leader-service.yaml % Total % Received % Xferd Average Speed Time Time Time Current Dload Upload Total Spent Left Speed 100 178 100 178 0 0 340 0 --:--:-- --:--:-- --:--:-- 340 root@k8s-m:~/guestbook# cat redis-leader-service.yaml 301 Moved Permanently nginx ..
ALB 의 Target Group 에 속한 Target 이 사용하는 Security Group 을 확인해본다. Instance 가 사용하는 Security Group 에서 Soruce 가 다른 Security Group 으로 지정되어 에러가 발생하였다. ALB 의 Security Group 으로 Source를 변경하였다. 혹은 ALB 가 엉뚱한 Security Group 으로 지정된 경우로 발생할 수 있다.
Docker는 기본적으로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호스트의 runtime data에 추가하지 않는다 (/run의 tmpfs로 마운트 되는 /var/run을 의미함) 실행된 컨테이너의 pid로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주면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다. # 호스트 네트워크 root@docker1:~# ip -br -c a lo UNKNOWN 127.0.0.1/8 ::1/128 enp0s3 UP 10.0.2.15/24 fe80::31:14ff:fe45:3203/64 enp0s8 UP 192.168.50.10/24 fe80::a00:27ff:fe7c:22c3/64 docker0 UP 172.17.0.1/16 fe80::42:23ff:fef8:ad75/64 vethca6cbca@if7..